왜 만들었나...? 학교에서 실습을 하거나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리눅스 환경이나 윈도우 vscode에서 소스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하는데 상당히 귀찮다.. 심지어 자리를 옮기거나 다른 PC 환경을 사용하면 환경이 일정치 않아 다시 세팅을 해야줘야 한다. 웹으로 만들어볼까? 설계 필요 기능 알고리즘 문제 풀이 대표언어 C, C++, Java, Python 컴파일 원할한 소스코드 작성을 위한 snippet, theme, autoComplete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editor 세팅값을 변경 가능 client에서 code를 받아 컴파일 후 output 보내주기 Frontend 기존에 웹으로 만들어본건 Django밖에 없었는데 api서버를 만들거나 주식 정보 사이트 같이 MPA 웹서버여서 이번 프로젝트에 적당하..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브라우저에서 html을 읽어 화면에 띄워준다. 그렇다면 이 html 문서를 누가 생성(rendering)할까? 여기서 SSR, CSR의 차이가 있다. SSR(Server Side Rendering) 블로그처럼 한 포스트에서 다른 포스트에 넘어갈 때 서버에 페이지에 대한 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때 서버에선 페이지에 대한 전체 html에 css, javascript을 담아 client에게 보내주게 된다. 서버측에선 올려진 html templelate을 그대로 보내주는 것이 아니라 이 html에 데이터와 javascript, css를 render하여 클라이언트에 하나의 html파일로 보내주게 된다. 이 html에는 DOM이 구성되어 있어 브라우저가 바로 그리기에 속도가 빠르다. (서버측 부..
- Total
- Today
- Yesterday
- 해커톤
- 시간 초과
- 코딩
- 리눅스
- vector search
- 웹IDE
- io blocking
- 분할 정복
- ttyd
- pvm
- OpenSearch
- Web
- letsencrypt
- pintos
- 뿌요뿌요 테트리스
- react
- 싸지방
- HNSW
- codeanywhere
- os
- 뿌요뿌요
- FastAPI
- 프로젝트
- 정보보호병
- 구름ide
- C
- 토이프로젝트
- 사이버정보지식방
- 백준
- Pyth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